ESG 경영의 다양한 개발의 연구
산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을 발굴하고 제어하는 리스크 관리에서 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ESG(환경· 사회· 지배 구조)경영을 도입하고 있다. 기업이 ‘사고’ 라는 리스크(Risk)관리에 상대적으로 소홀한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현상일 수 있다. 기업의 첫 번째 존재 이유인 ‘최대 이윤 추구’와 상반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중요해지기 시작했고,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이러한 개념을 보다 포괄적으로 아우르며 ‘지속 가능 경영’ 을 위한 기업의 비 재무적 요소들을 통칭하여 ESG라 하기도 한다. UN에 의해 처음 등장한 ESG는 Environment(E), So-cial(S), Governance(G)의 영문 첫 글자를 조합한 단어로써, 기업 경영에서 지속 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3가지의 핵심 요소들로 구성한 것이다. 과거에는 기업을 평가 함에 있어 ‘얼마나 벌었는가?’라는 재무적 성과가 기준이었으나, 최근에는 기후변화 등 기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함에 따라 ‘비 재무적’ 평가 항목을 통한 기업가치 평가가 중요하다는 인식이 늘어나고 있다. E, S, G 각 요소의 핵심 가치들은 다음과 같이 구분 및 정리되고 있다. E는 기후변화 및 탄소 배출, 환경오염 및 환경 규제 그리고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 등, S는 데이터 보호 및 프라이버시, 인권 성별 평등 및 다양성과 사회적 가치 실현을 추구, G는 뇌물 및 부정부패 금지와 공정하고 윤리적인 지배 구조의 마련이다. 이러한 ESG의 실천으로, 세계 최대 자산 운용 회사인 블랙 록(Black Rock)의 CEO 래리 핑크(Larry Fink)가 주요 기업 CEO들에게 보낸 2020년 연례 서한에서는 앞으로의 투자 판단에 있어 ‘환경 지속성’ 을 주요 투자 목표로 삼겠다는 뜻을 밝혔다. 또한 자사 홈페이지에는 “환경, 사회, 지배 구조(ESG) 요소를 살핌으로써 경영에 대한 필수적인 인사이트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를 근거로 기업의 장기 전망도 가능하다.” 라는 표현도 사용하고 있다. 최근 국내 대표적 부가 통신 사업자인 카OO 사의 데이터 센터 화재로 전 국민이 데이터 통신과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겪었다. 이 사고의 처리 경과를 보면 사고 대비와 후속 조치가 미흡하였으며 데이터 백업과 복구 체계도 원활하지 못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그동안 카OO 이라는 기업의 사업 확장성 대비 사고/안전에 대한 예방은 심각히 부족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해당 기업은 그간 비교적 좋은 점수의 ESG 평가 결과를 유지해 왔다. 한국ESG 기준원의 2021년 ESG 평가 등급 결과를 보면, 통합 A등급의 결과를 받았으며 특히 사회(S) 부문에 있어서는 A+ 등급을 받아 세 분야 중 가장 높은 고 평가를 받았다[4-5]. 사회(S) 부문의 ESG 평가 결과가 높다는 것에 더욱 주목하는 것은, 기업의 사고/안전 관련 대비 정도를 평가하는 항목이 사회(S) 부문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카OO의 사례처럼 현행 ESG 평가의 사회(S)분야 평가를 잘 받아도 사고 발생 시 그 대응 체계가 빈약하고 더욱이 가장 근본적인 ‘사회적 피해’ 를 최소화하기는커녕 정부가 나서 국가 차원에서 의 재난/안전사고로 관리할 정도의 피해가 일어났다는 것은, 현행 ESG 평가 결과의 실효성에 있어 그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해외 선행 연구 중 일부 ESG의 개념과 안전사고에 대한 선행 연구는 있으나, 안전 분야에서 중대 산업 사고와 ESG 평가 체계에 관한 선행 연구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ESG 평가 체계와 평가 항목을 직접적으로 분석한 연구 사례도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ESG 중에서도 특히 사회(S) 평가에 있어 ‘안전’ 평가 항목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ESG 평가 체계의 공통적 문제를 확인하고, 국내외 ESG 평가 체계 취약점 원인을 고찰하고, 미국 화학 사고 데이터 원인 분석을 통해 안전 관련 주요 ESG평가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업의 사고/안전 대비 정도를, ESG 평가를 통해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발전 방향을 고찰하고자 ‘중대 산업 사고 예방 센터 운영 규정’에 따라 중대 사고의 발생 빈도(Risk) 와 위 해성(Hazard)이 큰 ‘화학 사고’ 안전을 우선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6]. 본 연구의 구체적 고찰 대상으로 ESG 중 사회(S) 부문을 특히 그중에서도 ‘안전’관련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비교 분석 대상으로는 국내 화학 산업 업체의 사고 시나리오 및 미국 화학 산업 업종에 대한 화학 사고 데이터로 한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