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숲과 정원의 다양한 기능

도시숲과 정원의 다양한 기능

도시 숲과 정원의 다양한 기능과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 지면서 다각도의 연구가 수행 되고 있다. 도시 숲과 정원의 사회적 요구 도가 증가하면서(Kim,2014; Kim, 2020; Lee, 2022) 도시 숲에 건강 증진 목적의 회복 환경 관점을 적용 하거나(Jang, 2020), 스트레스 개선 및 치유 기능에 관한 효과 성을 알려 도시 숲의 필요성을 제시한 연구가 수행 되었으며(Lee, 2011; Kim,2012; Lee, 2014; Kim, 2014), 식물 상 연구를 통해 경관 향상 및 식재 설계에 관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는 등 도시 숲 생물 다양성에 관한 연구도 수행되었다(Oh,2014). 한편, Kim(2013)은 도시 숲의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수종 선정 및 식재 기준 연구를 수행하여 도시 수목의 이산화탄소 흡수 기능 규명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등 도시숲과 정원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하였다. 도시 숲과 정원의 여러 기능 중 기후 위기 시대에 신규 탄소 흡수 원으로 역할이 부각되어 국가적으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Kasperet al., 2021). 탄소 흡수 량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수종 별 목재 기본 밀도, 바이오 매스 확장 계수, 뿌리 함량 비, 탄소 함량 비 등의 탄소 흡수 계수 값이 필요하며(IPCC, 2006), 이에 국가별 탄소 흡수원 확대 및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국·내외로 탄소 흡수 계수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국 외는 수종 별 규격, 생장 률, 밀도 등에 따른 탄소 흡수 계수를 개발하여 모델화 하였고 (Nowak, 1994; JoandMaPherson,1995; NowakandCrane, 2002; DavidC. ChojnackyandMikailaMilton, 2008; QingxueLi, 2018), 국내는 국립 산림 과학원의 주도로 산림 교목의 부피와 건중량 측정을 통해 생장에 따른 탄소 저장량 산정 연구를 수행 하였다(JoandAhn, 2000; Liet al. 2010; Pyoet al. 2010; Seoet al. 2011a; Seoet al. 2011b; Sonet al. 2014b; Leeet al.2017). 반면, 도시숲 과정원 수목 연구는 일부 교목을 대상으로만 수행되어 (JoandCho, 1998; JoandAhn,2001; JoandAhn, 2012; JoandPark, 2017) 관목의 탄소 흡수 기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수령, 직경 등의 독립 변수를 활용하여 탄소 저장량에 관한 수종 별 상대 생장 식을 개발 하였으며, 실질적으로 유통 및 식재 되는 3년생 이후의 묘목을 공시 재료로 채택하고 수령 및 직경 변화에 따른 부위 별 흡수 계수를 개발하여 활용성을 높였다. 또한, 탄소 저장량과 연 평균 탄소 흡수량을 산정하여 수종 별 탄소 흡수 기능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탄소 흡수 계수를 개발하여 도시 숲과 정원 식재 되는 관목의 탄소 저장량 산정을 위한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고 탄소 흡수 기능 확대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공시 재료는 연구 결과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 도시 숲과 정원 용 관목 중 재배량의 88.2%를 차지하는 5개 수종을 선정하였다(Lim, 2010; Kim,2011; KFRI, 2017). 관목의 상대 생장식은 탄소 저장 및 연 평균 흡수량 추정을 위해 개발하였다. 3년 생 미만의 나무는 목재 기본 밀도와 탄소 함량 차이가 없다는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다양한 수령(3∼24년생)을 확보하여 본 연구를 수행 하였다. 대상 종 은도 시숲 과정원 등지에 가장 많이 식재 되는 관목 류로 회양목 (Buxussinica), 화살 나무(Euonymusalatus), 사철 나무(Euonymusjaponicus), 산철 쭉(Rhododendronyedoense), 조팝나무(Spiraeaprunifolia) 종 별 50 개체 씩 총 250개체 이며, 상대 생장 식 개발을 위한 수령 별 개체 수를 알 수 있다. 환경에 의해 탄소 함량의 차이가 발생 하기 때문에 (Navarro, 2013), 충청권 역의 동일한 환경에서 자란 식물로 생육이 정상적이고 생장이 균일한 개체를 샘플링 하였다. 뿌리 끝부터 수관 끝 까지의 수직 길이 인 총 수고는 산철쭉 (63.21cm)이 가장 낮았고, 회양 목(116.57cm), 화살나무(166.28cm), 사철나무(180.44cm), 조팝나무(191.05cm) 순으로 측정 되었다. 근원 직경은 뿌리와 줄기가 서로 분기 되는 지점을 버니어 캘리 퍼스로 정하였으며, 조팝나무(11.64mm)가 가장 낮았고, 회양 목(14.24mm), 산철 쭉(14.50mm), 사철나무(19.57mm), 화살나무(26.41mm) 순으로 측정 되었다.

Leave a Comment